|

임플란트교정 협진에 필요한 교정적 치아이동 포텐셜
|
이기준 교수
|
Understanding about Potential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Implant Dentistry
|
|
임플란트 치료는 기본적으로 치조골에 매식체를 심는 행위이고 이는 충분한 치조골양을 필요로 한다. 즉 치조골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식립 자체가 어려워지거나 예후가 불량할 가능성이 있다.
잘 식립된 임플란트라 하다라도 고정된 매식체이므로 평생을 거쳐 일어나는 주위 치조골의 개조에 대응하지 못한다. 또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시 치근과 다른 나사산 형태의 매식체는 위생 유지 및 염증 제거 등의 치료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교정치료는 치주인대의 활성화를 통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행위로서 alveolar bone의 변화를 유도하므로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있고 치아 이동에 따른 치조골 형성의 잇점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교정치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치근 흡수와 치조골 소실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개별 환자에서 결손치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 것인지는 다변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선의 방안을 선택하여야 한다. 골 형성의 측면에서는 환자의 골형성 포텐셜을 대변하는 환자의 나이 및 치근과 치조골의 부담을 보여주는 치아 이동 형태 그리고 환자의 수용 가능성 등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외에 교정이 강력한 치료 가능성으로 대두된 만큼 환자도 이를 인지하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 어떤 근거에 의해 1차적 치료 option을 제안할 것인가에 대해 전문가들 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제를 통해 치아 이동 가능성에 따른 치료 option 설정에 대한 지견을 임상 증례를 통해 공유하고자 한다.
|
성공적 협진을 위해 교정의가 알아야 할 최신 임플란트 치료 경향
|
박정철 원장
|
Recent Trend and Advances in Implant Dentistry and Interdisciplinary Therapy
|
|
'망치를 든 자에게는 세상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인다'라는 말이 있다. 교정을 전문으로 하는 치과의사에게는 환자의 모든 문제가 교정 원인으로 보일 수 있고, 임플란트를 전문으로 하는 치과의사에게는 환자의 문제가 임플란트로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하는 조언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하지만 구강 내의 많은 문제들은 단순한 하나의 원인으로 시작되기보다는 복잡적인 원인들이 서로 기여하여 발생할 수 있기에 우리는 항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서로의 전문 영역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데 이보다 더욱 필요한 것은 사실 소통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화성에서 온 남자와 금성에서 온 여자의 언어는 서로 다르듯이 교정에서 이야기하는 용어와 임플란트에서 고려하는 요인들은 다양한 의미에서 서로 다르기에 오해의 소지들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겸손한 자세로 양 영역 간의 소통에 더욱 전념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강의에서는
1) 최신 임플란트의 경향에 대한 트렌드를 우선 다루어 교정 전문의들이 최신 임플란트 치료에 대해 좀더 잘 이해하고 협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며 향후 최신 임플란트 트렌드에 맞게 임플란트 치료가 가능할 수 있는 이상적인 구강 환경을 교정적으로 구축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2) 임플란트 영역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시간적인 요소들에 대해 다루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3) 무엇보다 간단히 수술하고 보철하면 편안하게 치료될 수 있는데 무리하게 교정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보고, 교정이 꼭 필요한 경우, 교정하면 좋은 경우, 그리고 교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여 진단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임플란트 교정 협진 가이드라인 을 임플란트 전문 치과의사의 입장에서 제시함으로 임플란트교정 협진 치료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디지털을 이용한 효율적 임플란트 교정 협진
|
조진형 교수
|
Role of Digital Dentistry for an Efficient Interaction with Restorative Dentists
|
|
이제는 치아 상실을 해결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임플란트 수복치료입니다. 발치와 동시에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경우는 덜하지만, 발치 후 수개월 수년이 경과한 경우는 지지골의 흡수와 인접치·대합치의 이동으로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교정치료가 필수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부위만의 교정적 개선뿐 아니라, 임플란트 수복 치료 전후의 치아 배열과 교합을 최적화하는 과정은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기능을 보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교정치료를 통해 치아의 위치를 조정하고 교합을 개선함으로써,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임플란트 수복치료를 위한 교정치료의 계획은 단순히 인접치와 대합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이 아니라, 임플란트의 정확한 위치 선정과 주변 치조골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을 포함해야 합니다. 임플란트 식립체에 대한 과도한 하중, 대합치가 자연치일 때의 교합력, 환자의 구강 건강와 위생 상태 등을 포함한 포괄적이면서도 정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이 때 적절한 치아의 압하나 정출, 경사이동, 치체이동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을 포함한 교정적 접근은 환자 상황에 맞는 임플란트 수복을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결과는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밀하고 다양한 치아 이동을 위해 교정용 미니임플란트의 적용, 미니튜브장치와 같은 다양한 교정장치의 활용, 진보된 효율적인 치료 역학 등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치의학 분야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기반의 치료 플랫폼은 일반적인 교정치료 뿐 아니라, 임플란트 수복 치료를 위한 교정치료와 같은 협진이 필요한 경우에 그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디지털 진단과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면, 환자의 구강 구조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보다 정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치료 계획을 시뮬레이션하고, 문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또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지털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협력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교정치료는 단순한 치아 이동을 넘어,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다양한 교정 장치의 적용을 통해, 교정치료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치료 기간과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으로 임플란트 수복치료를 진행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다수 결손치 환자의 적절한 임플란트교정 협진 치료
|
백승학 교수
|
Proper Implant Orthodontic Treatment in a Patient with Multiple Missing Teeth
|
|
결손치는 교정환자 중 11% 정도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원인으로는 전신질환, 증후군, 외상, 감염, 대사성질환, 항암치료 등이 있다. 결손치의 숫자 빈도는 1-2개는 69%, 3개 이상은 31% 정도이며, 편측성과 양측성 발생 빈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결손치는 매복치, 왜소치 등과도 상관관계가 깊으며, 인종에 따라 하악 소구치, 상악 소구치, 상악 측절치, 하악 전치 등의 결손 빈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결손치가 발생할 경우 그 치료방법으로는 경과관찰, 교정치료에 의한 공간폐쇄 혹은 공간확보, 자가이식, 외과적 공간 폐쇄 등이 있다. 결손치의 공간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하는 것은 심미성과 기능 회복 및 향후 보철치료의 수월성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진단단계에서 교정치료 종료시까지 협진 치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강연에서는 다수 결손치 환자에서 교정-implant 치료 증례를 살펴보고 문헌고찰과 더불어 효율적인 치료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
임플란트 식립부 골양을 고려한 임플란트 교정 협진 치료
|
박효상 교수
|
Consideration of Bone Amount and Quality and Related Orthodontic Tooth Movement
|
|
임플란트 성공 실패는 골의 양과 성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할 수 있다. 교통사고 혹은 낙상으로 인하여 다수 치아의 소실이 발생한 경우, 골소실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환자들의 치료는 사고 이전에 존재하던 밀집 또는 치아의 위치 이상들을 치료하길 원하는 경우, 교정치료에 긴 기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긴 치료기간동안, 골 결손부로 치아를 이동시킨다면 골결손을 줄여주고, 치아이동 후방부에 골형성을 유도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좋은 품질의 골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아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골은 치밀하여 흡수에 매우 강하여 임플란트의 장기 성공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골결손 부위로의 적절치 않은 치아이동은 치은 퇴축, 골 열개 (bone dehiscence)를 유발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본 강연에서는 치아이동에 의한 골형성 유도시 적절한 골 형성을 위한 교정적인 치아 이동의 조건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한편 선천성 결손치를 가진 성장기 아동의 치료에서는 결손 공간으로 치아를 이동시켜 추후 보철 또는 임플란트 시술을 없애는 치료는 환자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좋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공간폐쇄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연조직의 열구(soft tissue cleft), 그리고 이에 따른 부분적인 골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런 문제는 대구치 결손 등 큰 공간을 폐쇄하는 경우에 더 심하다.
또한 치아의 우식으로 발치가 필요한 성장기 아동에서는 이 발치공간을 폐쇄하길 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도 연조직 열구, 염증, 골흡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성인에서는 공간 폐쇄시 연조직 열구, 염증, 골소실의 정도가 성장기 환자에 비하여 더욱 심하고, 또한 공간 페쇄에 걸리는 시간이 긴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그러나 공간폐쇄는 환자에게는 매우 좋은 치료이기에 수행되어야 하는 치료라 생각되고, 위에 언급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다면 금상첨화라 하겠다. 따라서 본 강연에서는 위 문제점들을 줄이는 임상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고찰하고자 한다.
|
효율을 고려한 임플란트 교정 협진치료 전략
|
황현식 교수
|
Proper Management of Implant Orthodontic Cases based on Treatment Efficiency
|
|
임플란트 보철치료 제대로 하기 위해 치아교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치아 아끼기 개념의 확산으로 발치를 덜하게 되고 이들 치아들의 위치 교정을 위해 임플란트 교정 협진의 필요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처음부터 다른 이유로 교정을 해야하는 케이스라면 교정치료 계획 수립시 임플란트를 제대로 하기 위해 이런 저런 모양으로 협진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한 반면, 애초에 교정치료 계획이나 환자의사가 없었던 경우라면 아무리 좋은 치료라 하더라도 환자에게 설명하고 그 치료를 accept 하게 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보철이나 치주 등 일반 치과치료의 결과나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하여 교정을 동반하는 경우 우리는 이를 보조적 교정치료 (adjunctive orthodontics)라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의 치료는 무엇보다 환자가 이 치료를 동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임플란트를 위해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그 교정치료를 환자에게 설명하고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오래 걸리지 않고” “아프지 않아야” 할 것이다. 물론 비용도 적은 것이 좋을 것이다. 아무리 좋은 치료라 할지라도 “오래 걸리고” “환자술자 모두가 힘든” 비효율적 치료라 한다면 처음부터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는 것이 adjunctive orthodontic treatment 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임플란트교정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위 Cost-benefit analysis (CBA) 에 입각한 효율적인 치료 프로토콜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임플란트 환자에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면 처음에 환자에게 “adjunctive”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냥 교정으로 설명해서는 안 될 것이다. 환자가 accept 해야 하므로 그 치료가 “오래 걸리지 않는다” “그리 많이 아프지 않다” 라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치료목표를 ideal 하게 잡지 말고 realistic 하게, 교정적인 시각이 아닌, “보철을 할 수 있는 정도로까지만”으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교정장치의 선택에서도 지혜와 센스가 필요하다. 우선 환자의 바램을 참고하고, 브라켓, 그리고 clear aligner로 치료가능성 여부나 정도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브라켓과 clear aligner 의 중간개념의 장치인 minitube appliance 같은 장치가 많이 나오고 있어 이의 적극적 활용을 검토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임플란트교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기간이다. 치료가 계획보다 길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정말로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TTM (Target Tooth Movement) 개념의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moving part 와 anchor part 구분을 정확히 하고 moving part 의 치아는 가능한 안아프게 그리고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움직일 필요가 없는 anchor part의 치아는 움직이지 않게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치료기간의 연장을 막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치료 마무리를 “항상 잘할려고” 하지 말고 때에 따라선 “적당히” 하는 것이다. ideal 한 상태가 아니고 “보철을 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만 적당히” 하는 것이다. 교정과 보철을 같이 하는 practice 에서는 이러한 치료 마무리를 쉽게 결정할 수 있지만 교정과 보철의 술자가 다를 때는 이를 협진 소통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며 이로 인해 치료가 연장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결국 임플란트 교정 협진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교정의 또한 임플란트 식립이나 보철 과정에 대한 최소한의 공부를 해야 할 것이라 할 수 있다.
임플란트교정 협진치료가 보다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는 그냥 교정치료가 아니라 “효율적인” 교정치료가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많은 환자들이 교정치료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